2. 민감성 피부, 반드시 피해야 할 성분은?
3. 전성분 분석, 이렇게 읽으면 쉽습니다
4. 성분 앱과 무자극 테스트, 진짜로 유용할까?
5. 마무리 — 성분으로 나를 지키는 습관
1. 전성분표, 어디까지 믿어도 될까?
전성분표(全成分表)는 화장품에 사용된 모든 원료를 표기한 성분 목록입니다. 2008년부터 대한민국에서는 모든 화장품에 전성분 표기가 의무화됐고, 이는 소비자가 '성분에 대한 알 권리'를 갖게 되는 큰 진전이었어요.
하지만! 전성분표는 때때로 소비자를 속이는 구조로 작용할 수도 있어요. 왜냐하면 표기 순서와 표현 방식에 따라, 함량이 낮아도 자극이 큰 성분이 뒤에 숨어 있을 수 있기 때문이죠.
구분 | 내용 |
---|---|
성분 순서 | 함량이 많은 순으로 기재 (단, 1% 미만은 순서 무관) |
향료/색소 | 향료, 색소 등은 대부분 맨 뒤에 적힘 (자극 여부 주의) |
기재 방식 | ‘○○추출물’ 표기는 다양한 실체가 포함될 수 있음 |
주의점 | 저함량이라도 민감피부에 큰 영향을 줄 수 있음 |
즉, 전성분표는 정답지가 아니라 ‘단서’예요. 피부 상태에 따라 내게 필요한 성분과 피해야 할 성분을 구분할 줄 아는 눈이 더 중요합니다.
2. 민감성 피부, 반드시 피해야 할 성분은?
민감성 피부는 피부장벽이 약해 외부 자극에 쉽게 반응하는 피부 상태입니다. 특히 화장품 성분 중에서도 향료, 보존제, 계면활성제, 알코올 계열은 피부 트러블, 따가움, 홍조, 접촉성 피부염 등을 유발할 수 있어요.
성분군 | 예시 | 피부 반응 |
---|---|---|
향료 | Fragrance, Limonene, Linalool 등 | 홍조, 가려움, 발진 |
보존제 | 파라벤, 페녹시에탄올, MIT/CMIT | 염증, 접촉성 피부염, 따가움 |
계면활성제 | Sodium Lauryl Sulfate (SLS), PEG류 | 당김, 건조, 피부 장벽 약화 |
알코올 | 에탄올, 변성알코올 | 수분 손실, 따가움, 자극감 |
“나는 트러블이 자주 나는데, 병원에서도 원인을 못 찾았어요” 라는 분들, 꼭 전성분을 다시 살펴보세요. 단 하나의 성분이 당신의 피부를 괴롭히고 있었을지도 모릅니다.
3. 전성분 분석, 이렇게 읽으면 쉽습니다
✔️ 전성분표, 이렇게 읽어요
- 앞쪽 성분을 먼저 본다
전성분은 함량이 높은 순으로 기재되므로, 상위 3~5개 성분이 화장품의 본질. - 1% 이하 성분 구간 구분
보통 보존제, 향료는 뒤쪽에 위치하며, 1% 이하 구간부터는 순서가 의미 없음. - 자주 보이는 주의 성분 체크
Fragrance, PEG류, 알코올류, 파라벤 등은 자극 위험이 있는지 확인 필요. - 추출물/혼합물 표기 구분
‘○○추출물’은 성분의 함량과 실질 효과가 불분명할 수 있음.
화장품 전성분표는 ‘모든 걸 보여주진 않지만’, 내 피부에 맞는 제품을 찾는 출발점이 될 수 있습니다. 화려한 광고보다, 작은 라벨을 읽는 습관을 먼저 들여보세요.
4. 성분 앱과 무자극 테스트, 진짜로 유용할까?
✔️ 대표 성분 앱 비교
앱 이름 | 특징 | 유의점 |
---|---|---|
화해 | 국내 최다 리뷰 기반, 성분별 자극도 확인 | 소비자 리뷰는 개인차 많음 |
올리브영 | 제품별 인기 랭킹·전성분 제공 | 마케팅 요소 포함 주의 |
뷰티크레딧 | 다양한 브랜드별 분석, 리포트 형식 제공 | 신생 앱으로 정보 누락 가능 |
✔️ 무자극 테스트 = 무조건 안전?
- '완료' 표시는 절대적인 의미가 아닙니다.
일반적으로 30~50명 대상, 피부과적 자극 평가만을 의미해요. - 민감성 피부는 별도로 고려되지 않아요.
무자극 판정을 받은 제품도 개인 피부에는 자극이 될 수 있어요. - 인증 기준이 나라마다 달라요.
유럽, 미국, 한국의 인증 로직이 달라 신뢰도 해석이 필요해요.
성분 앱과 무자극 테스트는 도움은 되지만, 절대 기준은 아니에요. 스스로 성분을 이해하고, 자신의 피부 특성을 파악하는 것이 가장 확실한 기준이 되어줄 거예요.
5. 마무리 — 성분으로 나를 지키는 습관
“피부가 예민해서 아무 화장품이나 못 써요” 이 말 속에는 당신의 피부에 귀 기울일 준비가 되어 있다는 뜻이 있어요.
이제부터는 예쁜 패키지보다, 성분이 예쁜 화장품을 고르는 나를 응원해요. 내 피부의 언어를 들어주는 화장품, 그게 진짜 스킨케어의 시작이니까요.
💡 다음에 화장품을 고를 땐, 한 번쯤 '전성분표를 읽는 시간'을 가져보세요. 그 작은 습관이 피부를 지켜주는 큰 울타리가 될지도 몰라요.